본문 바로가기
개별주식/기업분석

[기업분석] 넷플릭스 Netflix ($NFLX)

by MVP 라일라 2025. 4. 19.
반응형

[기업분석] 넷플릭스 Netflix ($NFLX)


1. 회사소개

🎬 넷플릭스(Netflix, Inc.)는 전 세계 190개국 이상에서 사랑받는 🌍 글로벌 스트리밍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입니다.
1997년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설립된 이 회사는 현재도 본사인 로스가토스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14,000명 이상의 직원들과 함께 끊임없이 콘텐츠 혁신을 이어가고 있어요. 🚀

 

📺 넷플릭스는 TV 시리즈, 다큐멘터리, 영화, 그리고 최근에는 게임 🎮까지 다양한 장르와 언어로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어요.
처음에는 DVD 대여 서비스로 출발했지만, 2007년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작하며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판도를 바꿨습니다. 🔄

🏆 오리지널 콘텐츠인 ‘하우스 오브 카드’, ‘기묘한 이야기’, ‘오징어 게임’ 등은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인기를 끌며 넷플릭스를 콘텐츠 강자로 만들었고,2024년 4분기에는 무려 1,900만 명의 신규 유료 가입자를 확보하며 역대 최고의 분기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

 

💡 최근에는 광고 기반 요금제, 계정 공유 제한, 게임 서비스 확장, 스포츠 및 라이브 콘텐츠 도입 등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다양화하고 있으며, 2025년부터는 ‘가입자 수’ 공개를 멈추고 대신 수익성과 콘텐츠 참여율에 집중하는 전략을 펼칠 예정입니다. 📊 🎥 넷플릭스는 앞으로도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만큼”이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전 세계 이용자들에게 최고의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요. 🌟


2. 실적 분석

💰2025년 1분기 실적: 실적도, 가이던스도 모두 '서프라이즈'

  • EPS(주당순이익): $6.61 (전년 대비 +25%)
  • 매출: $10.54B (전년 대비 +12.5%)
    👉 시장 예상치를 모두 상회하는 깔끔한 실적

2분기 가이던스도 매우 긍정적입니다.

  • 예상 EPS: $7.03 (+44%)
  • 예상 매출: $11.04B (+15%)
    🔮 두 자릿수 성장률 + 시장 전망 상회 → 완벽한 조합

넷플릭스는 현재 거시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가입자 이탈 없이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저가형 광고 요금제가 소비 둔화에 대비한 훌륭한 방어벽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

🧮 연간 EPS 분석 (2018 ~ 2026E)

연간 EPS

1) 폭발적 초기 성장기 (2018~2021)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넷플릭스는 매년 두 자릿수~세 자릿수의 EPS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 2018년: +114%
  • 2021년: EPS $11.24로 3년 만에 4배 성장

이 시기는 글로벌 가입자 급증과 오리지널 콘텐츠 전략의 대성공 덕분입니다. 특히 ‘기묘한 이야기’, ‘킹덤’, ‘오징어 게임’ 등 글로벌 히트작이 등장하면서 넷플릭스의 브랜드 가치도 함께 급등했습니다. 🌍

 

⚠️ 2) 일시적 조정기 (2022)

2022년은 -11% EPS 감소로 드물게 역성장을 기록한 해입니다. 이는 팬데믹 종료 이후 성장률 둔화, 경쟁사들의 스트리밍 진출, 그리고 계정 공유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하지만 넷플릭스는 빠르게 반응하며 광고 기반 요금제, 계정 공유 차단 정책, 비용 효율화 전략을 실행했고, 2023년부터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3) 반등과 재도약 (2023~2026E)

  • 2023년: +21%
  • 2024년: +65% (EPS $19.83)
  • 2025E: +26%
  • 2026E: +22% (EPS $30.38 예상)

이제 넷플릭스는 단순한 콘텐츠 구독 모델을 넘어, 광고 수익, 게임/라이브 콘텐츠, 스포츠 중계, 글로벌 콘텐츠 투자를 통해 새로운 수익원을 만들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부터는 광고 기술 제품군을 미국과 캐나다에 출시했고, 2025년에는 10개국 이상으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이는 수익성과 마진률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3. 기술적 분석

넷플릭스 주가는 최근 더블 바텀(Double Bottom) 패턴을 완성하고 있으며, 매수 포인트인 998.70달러를 돌파한 상태입니다.
만약 금요일 휴장을 마치고 월요일 장에서도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강력한 돌파 흐름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종가(4/17): $1,006.79 (+3.5%)
  • 차트 패턴: 더블 바텀
  • 매수 포인트: 998.70
  • 실적 발표 후: 거래량 증가 + 기관 수급 유입 조짐

 

넷플릭스 차트

 

매수 전략

  1. 1차 매수
    • 매수 타이밍: 이미 돌파한 상태에서 998.70 ~ 1,006 구간 재테스트 시 분할 매수
    • 근거: 더블 바텀 넥라인 돌파 + 거래량 동반한 실적 모멘텀
  2. 2차 매수
    • 매수 타이밍: 다음 주 장 초반에 1,010~1,015달러 이상에서 거래량 증가하며 추가 상승 시
    • 근거: 추세 본격화 확인 후 따라붙는 돌파 매매
  3. 단기 눌림 매수 기회
    • 지지 확인선: 21일선(937.76) 또는 50일선(939.25)
    • 이탈하지 않고 지지받는다면 단기 매수 기회로 활용 가능

🧨 리스크 관리 전략

  • 손절 기준:
    • 978달러 이하 이탈 시, 더블 바텀 돌파 실패 가능성 있으므로 손절 고려
    • 21일선(937.76) 이탈 후 하락세 지속되면 중기 추세 전환 우려
  • 리스크 경고 시나리오:
    • 거래량 없이 상승 → 강한 매도 신호로 해석
    • 실적 발표 이후 단기 과매수 구간 → 이격도 주의 필요

4. 📢 투자기관 평가: 목표주가 줄상향

1분기 실적 발표 이후 7개 이상의 월가 기관들이 넷플릭스 목표주가를 상향했습니다.
대표적으로:

  • Pivotal Research: $1,250 → $1,350 (Buy 유지)
  • BMO Capital Markets: $1,175 → $1,200 (Outperform 유지)

특히 넷플릭스의 광고 비즈니스 확장성경쟁사 대비 압도적인 수익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광고 기술 제품군은 4월 1일부터 미국과 캐나다에서 도입되었고, 2분기에는 10개국 이상으로 확장 예정입니다.


5. 🌍 장기 전략: 2030년까지 매출 2배 목표?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에 따르면, 넷플릭스는 2030년까지 매출을 2배로 확대하는 내부 목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Ted Sarandos 공동 CEO는 "이러한 목표는 공식적인 가이던스는 아니지만, 우리는 장기적인 목표 아래 매일 회사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단기 실적뿐 아니라, 10년을 내다보는 성장 기업이라는 점을 다시금 확인시켜주는 부분입니다.

https://www.wsj.com/business/earnings/netflix-earnings-q1-2025-d662fdeb


6.📌 투자 포인트 요약

  1. 실적 서프라이즈: EPS·매출 모두 시장 예상 상회
  2. 📈 기술적 돌파 임박: 더블 바텀 패턴 완성, 매수 타이밍 도래
  3. 🧠 광고 사업 확대: 저가 요금제 + 광고수익의 결합 = 수익 다변화
  4. 🏗️ 2030년 매출 2배 목표: 장기 비전 명확한 성장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