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별주식/기업분석

[기업분석] GE 버노바 GE Vernova($GEV)

by MVP 라일라 2025. 3. 17.
반응형

[기업분석] GE 버노바 GE Vernova($GEV)

1. 회사 소개

⚙️ 주요 사업 및 제품

1. 전력(Power) 🔥

  • ⚡ 가스 터빈, 🏭 원자력·수력 발전
  • 🛠 발전소 운영 및 유지보수

2. 풍력(Wind) 💨

  • 🌿 육상·해상 풍력 터빈, 🌊 블레이드 제조
  • 🔄 발전소 유지보수 및 최적화

3. 전기화(Electrification) ⚡

  • 🔌 전력망(Grid) 솔루션, ⚡ HVDC 시스템
  • 🔋 전력 변환, 🧠 AI 기반 전력 최적화

 

🌍 주요 고객 및 시장

 

👥 고객: 🏛 정부·공공기관, 🏢 대형 에너지 기업, 🌞 재생에너지 운영사
📍 시장:

  • 🇺🇸 북미: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증가 📈
  • 🇪🇺 유럽: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
  • 🇨🇳🇮🇳 아시아: 전력망 확장 ⚡
  • 🇸🇦 중동: 원자력·가스 발전 증가 🚀

2. 실적 분석

 

 

📌 1. 매출과 EPS(주당순이익) 흐름 분석

📊 매출 성장:

  • 2024년 매출은 $34.94B로 전년 대비 약 5~6% 증가
  • 매분기 5~10% 내외의 안정적인 성장세 유지
  • 2025년 예상 매출은 $11.1B/분기, 연간 $40B 이상 예상

📈 EPS 급증:

  • 2023년까지 적자(-$1.16 → -$0.55 → -$0.63)였으나,
  • 2023년 4분기 흑자전환(+$0.72, +129%)
  • 2024년 2분기 EPS 급등(+$4.76, +965%)
  • 2025년 예상 EPS $6.72 (+19%), 지속적인 상승세

GEV 매출과 EPS TTM

 

 

2. EPS 급등의 원인

📌 ① 수익성 개선 (Margin Expansion)

  • 2024년 조정 EBITDA 마진: 5.8% → 10.2% (+4.4%p 증가)
  • 수익성 높은 전력(Grid), 가스 발전(Power) 부문 성장
  • 풍력(Wind) 부문 적자 축소 (2023년 대비 손실 50% 감소)

📌 ② 비용 절감 및 운영 효율화

  • GE에서 독립 후 Lean 경영 도입 → 비용 절감
  • 공급망 관리 개선 → 마진 확대

📌 ③ 부채 구조 조정 & 이자비용 절감

  • 재무구조 개선 → 순이익 증가
  • 자사주 매입 가능성 → EPS 추가 상승

 

3. 기술적 분석

📈 1. 가격 움직임 및 주요 구간 분석

① 박스권 돌파 후 상승 (📍초록색 박스, 파란색 화살표)

  • GEV는 $190~$230 구간에서 박스권 횡보
  • 8월 초 박스권 상단 돌파 후 강한 상승세 진입
  • 돌파 이후 지지선 테스트 후 반등 → 강한 매수 신호

② 상승추세 유지 및 급등 (📈 파란색 화살표 이후)

  • 박스권 돌파 후 EMA(10, 21) 위에서 안정적인 상승
  • 50일 이동평균선(MA50)과 21일 이동평균선(EMA21)이 정배열 유지
  • 지속적인 Higher High, Higher Low 패턴 → 강한 상승 추세

③ 주요 조정 구간 및 하락 (📉 빨간색 화살표)

  • 최고점 $430 부근에서 조정 시작
  • 50일 이동평균선(MA50) 하락 돌파 → 추세 약화 신호
  • 조정 과정에서 21일선 및 50일선 지지 실패 → 급락

GEV 차트

📌 매수 전략 (Bullish 시나리오)

🔹 $268 (200일선) 부근 지지 확인 후 반등 시 매수
🔹 EMA(21) & MA50 ($320~$350) 재돌파 시 추세 회복 가능
🔹 Volume 증가 & 급등 발생 시 상승 추세 복귀 신호

📌 매도 전략 (Bearish 시나리오)

🔻 $268 (200일선) 하락 이탈 시 추가 하락 가능 → 손절 고려
🔻 $320~$350 (MA50, EMA21) 저항에서 돌파 실패 시 단기 매도
🔻 거래량 감소 & 하락세 지속 시 추가 조정 가능

 

GE Vernova는 AI 시대의 필수적인 인프라 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전력망 확장과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증가의 핵심 수혜주로 평가됩니다. 단기 조정 속에서 매수 기회를 찾으며, 장기적 성장 가능성을 고려한 접근이 유효할 것입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