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스포티파이 회사소개 (Spotify)
스포티파이(Spotify)는 스웨덴에서 설립된 세계 최대 규모의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입니다. 사용자는 수천만 곡의 음악, 팟캐스트, 오디오 콘텐츠를 스트리밍으로 감상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서비스
서비스 | 유형설명 |
🎵 음악 스트리밍 | 다양한 장르의 음악 감상 가능 (전 세계 아티스트 곡 포함) |
🎙️ 팟캐스트 | 다양한 분야의 오디오 콘텐츠 제공 |
🧠 추천 알고리즘 | 사용자 취향을 분석해 맞춤형 플레이리스트 제공 |
💳 프리미엄 서비스 | 광고 제거, 오프라인 저장, 무제한 스킵 등 유료 혜택 제공 |
📈 수익 구조
- 프리미엄 구독료
- 광고 수익 (무료 사용자 대상)
- 팟캐스트 수익화 모델
- 크리에이터 및 레이블과의 협업 수익
🌍 글로벌 영향력
- 180개국 이상 서비스 중
- 음악 산업의 판도를 바꾼 기업 중 하나로 평가됨
- 아티스트와 레이블이 디지털 음원으로 수익을 얻는 구조를 정착시킴
🧩 경쟁사
- Apple Music
- YouTube Music
- Amazon Music
- Tidal
- Deezer 등
2. 실적 분석
📌 1. 매출 성장 (Revenue Growth)
- 프리미엄(Premium) 구독 매출과 광고(Ad-Supported)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성장세를 유지.
- 2020년 6.6B → 2025년 예상 14.3B로 매출이 2배 이상 증가.
- 프리미엄 구독이 여전히 주요 수익원이며, 광고 기반 매출도 증가하는 추세.
- 광고 기반 매출(Ad-Supported)은 2021년 이후 1B 이상을 유지하며 성장세 지속.
💡 시사점:
Spotify는 여전히 프리미엄 구독 모델에 의존하지만, 광고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수익 다각화에 성공하고 있음.
📌 2. 사용자 증가 (User Growth)
- 총 사용자 수: 2020년 296M → 2025년 예상 699M (+136%)
- 프리미엄 가입자: 2020년 135M → 2025년 272M (+102%)
- 광고 기반 사용자: 2020년 169M → 2025년 440M (+160%)
💡 시사점:
Spotify의 사용자 기반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광고 기반 무료 사용자(Ad-Supported Users)의 증가 속도가 더 빠름.
이는 광고 매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향후 광고 수익 모델이 더 강화될 가능성이 있음.
📌 3. 지역별 매출 (Revenue by Geography)
- 2020년 3.8B → 2025년 8.3B (기타 국가 매출)
- 미국 매출: 2.8B → 6.4B
- 영국 매출: 793M → 1.5B
- 룩셈부르크 매출: 814M → 1.5B
💡 시사점:
- 미국이 가장 큰 시장이지만, 기타 국가(Other Countries) 매출이 꾸준히 성장.
- 유럽 시장도 성장을 지속하지만, 신흥 시장(예: 아시아, 라틴아메리카)의 기여도가 증가할 가능성이 큼.
📌 4. 주당순이익 (EPS) 변화
연도 | EPS | 변화율 |
2018 | -3.07 | +63% |
2019 | -1.15 | +62% |
2020 | -3.79 | -228% |
2021 | -0.20 | +95% |
2022 | -2.39 | -999% |
2023 | -3.01 | -26% |
2024 | 5.69 | +289% |
2025 (예상) | 10.98 | +93% |
2026 (예상) | 14.21 | +29% |
💡 시사점:
- 2020~2023년 동안 적자가 지속되었지만, 2024년부터 흑자 전환(5.69달러) 성공.
- 2025년 예상 EPS: 10.98, 2026년 14.21로 급격한 이익 개선 전망.
- 이는 Spotify가 비용 절감, 광고 매출 성장, 가격 인상 전략 등을 통해 수익성을 높이고 있다는 것을 의미.
3. 차트분석
📌 1. 200일 이동평균선(블루) 돌파: 강세장 시작 신호
- 파란색 화살표로 표시된 지점에서 SPOT은 200일 이동평균선(MA 200)을 돌파하며 강한 상승 모멘텀을 형성.
- 이는 일반적으로 장기 하락 추세에서 벗어나 강세장으로 전환되는 신호.
- 돌파 이후 꾸준한 상승을 이어가며 50일, 21일 이동평균선을 유지하며 상승 랠리를 지속.
💡 시사점:
SPOT이 200일 이동평균선을 돌파하는 시점에서 매수 기회가 발생했으며, 이 후 지속적인 상승이 이루어짐.
📌 2. 50일 이동평균선(초록색) 붕괴 후 재돌파 → 스윙 트레이딩 기회
- 초록색 화살표로 표시된 지점에서 SPOT은 50일 이동평균선(MA 50)을 하락 돌파 후 다시 상승 돌파하는 패턴을 보임.
- 50일 이평선을 다시 돌파하는 순간이 스윙 트레이딩 기회였으며, 이후 주가는 추가 상승.
- 50일 이동평균선이 지지선 역할을 하며 주가가 재차 반등하는 모습을 보임.
💡 시사점:
- SPOT이 조정받을 때 50일 이동평균선을 테스트하고 다시 돌파하는 구간에서 매수 기회가 나타남.
- 현재는 50일 이동평균선을 다시 지지받고 반등하는 강세 패턴.
- 50일 이평선을 유지하는 한 추가 상승 가능성이 높으며, 600~650달러까지 상승 여력이 있음.
반응형
'개별주식 >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분석] 더치브로스 Dutch Bros($BROS) 🚗☕🌟 (2) | 2025.03.25 |
---|---|
[기업분석] Rubrik($RBRK) 루브릭; 사이버보안 (2) | 2025.03.24 |
[기업분석] Landbridge($LB) 랜드브리지 (0) | 2025.03.20 |
[기업분석] Paycom Software($PAYC) 페이컴 소프트웨어 (0) | 2025.03.19 |
[기업분석] 라이프 타임 그룹 Life Time Group Holdings($LTH) (1) | 2025.03.19 |